본문 바로가기
  • 자연이 숨쉬는 산내음
  • 자연이 쉼쉬는 산내음
  • 자연이 쉼쉬는 산내음

열매19

직바구리의 삶 ! 우리의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유일한 텃새일명 숲속의 '수다쟁이'로 통하는 새몸매가 날씬하며 암수의 깃털은 동일하며.겨울에는 머리 꼭대기와 뒷목의 깃이 푸른빛을 띠는 회색이며.턱밑은 밝은 회색이다.​가슴과 배는 어두눈 회색으로 깃의 끝에 희색의 무뉘가 있다.부리는 검은겍이고 다리는 갈색이다.​주로 평지의 활엽수림이나 상록수림에 산다.여름철에는 해충류를 먹으며 겨울에는 나무 열매나 과수를 먹고 산다. 2024. 12. 27.
공중의 새 - 직박구리 ! 직박구리 ! ​ 새는 지구 상 어디에서나 사식하며 가장 쉽게 눈에 뛰는 생명체 중 하나입니다. 새들은 겉 모습과 색갈,소리,습성이 다양하고 익살스러운 행동을 하기 대문에 새들을 관찰 하는 것은 즐거우면서 보람 있는 취미 활동입니다. ​ 툭히 겨울철의 새들을 보면 그들이 어떻게 먹이를 구하는 가? 철새들 이라면 먹가 있는 곳으로 이동을 통해 먹이를 구하지만 텃새들이란 주어진 곳에서 생존을 위한 활동을 해야 한다. 딱따구리는 죽은 나무에서 벌레를 잡기위해 주둥이로 썩은 나무 둥치를 파헤처 먹이를 구한다. ​ 여기 숲속의 수다장이로 불리우는 직박구리는 몸길이 약27.5cm 겨울에는 머리 꼭대기와 뒷목의 깃이 푸른빛을 띠는 회색이다 여름철에는 해충을 먹지만 겨울 철에는 이렇게 나무의 열매를 먹거아 과수를 먹고 .. 2022. 12. 21.
새들의 겨울 삶 ! 직 박 구 리 ! 하늘의 새들은 오랫동안 존재해 왔습니다 어떤 새들은 벌래를 먹고 살며,열매나 씨를 먹는 새들도 있다 이 새들을 위한 먹이들이 풍족하게 마련 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런데 새들은 씨를 뿌리거나 창고에 모아들이지 않아도 살 수 있는 까닭은 무엇일까, 그 대답은 예수게서는 사람들이 먹고 사는 문제와 관련 하여 말씀 하시면서 하늘의 새들을 유심히 보라고 하셨습니다. 새들은 새끼를 키울 수 있는 놀라운 본능을 주시고 암컷과 수컷이 공동으로 새기를 먹이는 일을 하고 자신도 살아가고 있습니다. 작박구리 새는 머리와 목은 회색으로 각 깃툴 끝은 뽀족하고 엷은 잿빛, 귀는 밤색, 윗면과 날개는 어두운 회색, 깃끝에 흰색의 얼룩무뉘가 있다. 배옆의 깃틀은 황갈색,아래 꼬리덮깃은 어두운 재빛,가장자리는.. 2021. 12. 20.
보 리 수 ! 보 리 수 ! 6월의 들녁에 이렇게 탐스럽게 익어 있는 모습에서 사람들의 눈과 맛을 느끼게 하는 열매가 바로 보리수이다. 꽃말 :부부애,결혼,부부의 사랑 뜰에 많이심어 뜰보리수라 불이움 고행 긑에 도를 득한 나무와는 관련이 없다합니다. 효능 : 열매와 잎,줄기,뿌리 모두 약으로 쓰임 원산은 일본으로 관상용으로 들어와 심은 귀화 식물 낙엽관목이며 높이 2m 안팍이고 소지에 적갈색인 민모가 있으며, 잎은 호생하고 긴 차원형,.5월에 연한 황색 또는 백색 꽃이피고, 수술이 각각4개이고 1개의 암술이 있다. 먹을것이 없던 시절엔 간식이였으며,열매는 떫은 맛이 있으나 단맛이 있어서,흔히들 뽀리수라고 하며 따먹곤 한다. 뜰보리수는 과육은 보리수보다 10-20 더 굵으며 보리수는 9-10월에 멸매사 익어나 뜰보리수는.. 2021. 7.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