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자연이 숨쉬는 산내음
  • 자연이 쉼쉬는 산내음
  • 자연이 쉼쉬는 산내음

먹이5

직박구리의 겨울 삶 ! 새들의 겨울 삶 ! 겨울이 닥치면 어떤 사람들이 따뜻한 기후를 찾듯이 수많은 야생동물들도 특히 새들이 그러한 여행을 한다 물론 새들이 남쪽으로 날아가는 것은 추위를 벗어나기 위해서, 그리고 보다 나은 생활을 해나가기 위하여 좀더 따뜻한 지대로 여행 한다. 그들은 북쪽에서 여름 동안은 곡식과 열매와 곤충들을 먹고 살 수 있다. 실제로 미국과 ‘캐나다’ 북쪽에 사는 모든 새들의 3분의 2가량 (120억 내지 150억마리 가량)은 겨울을 나기 위하여 남쪽으로 날아 미국 남부 및 ‘멕시코’ 또는 중앙 및 남‘아메리카’로 간다. 하지만 겨울에는 그러한 맛좋은 음식들이 부족할 뿐만 아니라 다른 먹이를 찾기 위한 낮시간이 또한 짧다. 그러나 지역 텃새들은 주어진 곳에서 먹이를 찾아야 한다. 손쉬운 방법이 나무의 열매.. 2020. 12. 25.
먹이 다툼 ! 다 툼 ! 인생 찬가 롱펠로우는 위대한 자의 생애를 돌아보고 인생을 숭고히 하며 생을 떠나는 날 시간의 모래 위에 영원한 발자취를 남기고 가라 한다. 여기 갈매기의 먹이 다툼 속에서 우리가 배울 수 있는 교훈은 무엇일까? 성경에는 까닭 없이 다툼이나 논쟁에 열루되지 말라한다 상관.. 2019. 2. 26.
직박구리 직박구리의 삶 ! 직박구리는 약 24과 53종의 식물 열매를 섭취하는 것으로 53종이라는 다양한 열매를 섭취하는 것은 보면 정말 식물의 열매를 좋아하는 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식물의 열매를 좋아하는 식성 탓에 자연스레 숲의 종자 분산에 큰 기여 보여준다. 광나무(Ligustrum japonicum)는 서.. 2017. 1. 27.
동박새의 삶 ! 삶 ! 자연 안에서의 죽음은 탄생이며, 죽는 일에서 드디어 삶의 고귀함이 명백하게 나타남다. 자연에는 죽음에 이르게 하는 원리는 존재하지 않는다. 자연은 완전한 삶이기 때문이다.죽음이 죽게하는 것이 아니라, 낡은 삶의 매후에 숨어 있었던 보다 더 씨씩한 삶이 작용하기 시작하여 뻗.. 2016. 2. 20.